본문 바로가기

장애인 생활과 돌봄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시각적 일정표 제작과 활용법

시각적 일정표가 필요한 이유

발달장애 아동은 시간 개념이나 순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예기치 못한 일정 변화나 과도한 활동량은 불안과 행동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시각적 일정표는 하루 일과를 시각적으로 제시해, 아동이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 쉽게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특히 언어 이해력이 낮거나 감각 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에게는 그림, 사진, 아이콘을 활용한 일정표가 효과적입니다.

 

일정표 제작을 위한 준비물

시각적 일정표를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사진 또는 그림 카드: 아동이 이해하기 쉬운 실제 사진, 픽토그램, 그림 등을 사용합니다.
  • 일정판: 자석 보드, 코르크 보드, 칠판, 또는 A4 파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부착 도구: 벨크로 테이프(찍찍이), 자석, 집게 등을 사용하면 카드 교체가 쉽습니다.
  • 시간 표시 도구: 시계 그림, 디지털 시간 표시, 또는 색상 구분으로 시간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일정표 구성 방법

  1. 일과 순서 나열
    아침 기상부터 취침까지의 하루 일과를 순서대로 배열합니다.
    예) 기상 → 세수 → 아침 식사 → 학교 → 점심 → 놀이 → 저녁 → 양치 → 취침
  2. 시간대 구분
    오전·오후·저녁 등으로 나누거나, 활동 시간에 따라 색상을 달리 표시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3. 완료 표시
    활동이 끝날 때마다 카드를 뒤집거나 ‘완료’ 상자로 옮기는 방식으로, 성취감을 느끼게 합니다.
  4. 변화 대비 카드
    일정 변경이 필요할 때를 대비해 ‘변경’, ‘휴식’, ‘외출’ 등의 카드를 미리 준비해 두면 불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제작 시 유의사항

  • 아동 맞춤화: 이해 수준, 선호 색상, 좋아하는 캐릭터 등을 반영해 제작하면 흥미가 높아집니다.
  • 간결성 유지: 한 장면에 너무 많은 정보나 복잡한 배경을 넣지 않아야 시각적으로 혼란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내구성 확보: 카드를 코팅하거나 두꺼운 종이를 사용해 오래 쓸 수 있도록 합니다.
  • 휴대성 고려: 외출 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파일이나 미니 보드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활용 방법과 적응 과정

처음에는 보호자가 아동과 함께 일정표를 보고 다음 활동을 설명합니다. 점차 아동이 스스로 일정표를 확인하도록 유도하며, **‘활동 전 일정 확인’ → ‘활동 후 완료 표시’**의 루틴을 형성합니다.

  • 아침 준비: 기상 후 일정표를 보며 하루 계획을 시작합니다.
  • 학교나 치료 일정: 등교 전 또는 치료센터에서 당일 일정을 안내합니다.
  • 가정 내 활동: 숙제, 놀이, 집안일 참여 등의 순서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이 과정에서 긍정적인 강화(칭찬, 스티커 보상)를 함께 제공하면 참여도가 높아집니다.

 

시각적 일정표가 주는 변화

시각적 일정표를 사용하면 발달장애 아동은 예측 가능한 하루를 경험하며, 불필요한 불안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자기 주도적인 행동이 늘어나고, 보호자의 언어적 지시 의존도가 낮아집니다. 장기적으로는 시간 개념 형성과 계획 수립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결국, 시각적 일정표는 단순한 학습 도구를 넘어, 발달장애 아동의 자립과 정서 안정을 위한 강력한 지원 장치가 될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시각적 일정표 제작과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