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 적응형 패션

고령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내의 및 실내복 추천

고령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내의 및 실내복 추천

 

1. 고령 장애인의 신체 특성과 의류 요구: 체온 유지와 압박 최소화

고령의 장애인은 근육량 감소, 혈액순환 저하, 감각 둔화 등의 신체 변화로 인해 쉽게 추위를 느끼고, 피부 손상 위험도 높습니다. 특히 와상생활을 하거나 활동량이 적은 경우, 체온이 떨어지기 쉽고 피부 압박에 의한 욕창 위험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속옷과 실내복은 단순히 ‘옷’이 아닌 건강 유지의 도구로 접근해야 합니다.

일반 내의는 고무줄이 너무 조이거나, 솔기나 라벨이 피부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고령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내의는 압박이 적고, 피부에 부드럽게 밀착되며, 땀을 잘 흡수하고 건조되는 소재로 제작되어야 하며, 환절기에는 얇지만 보온성이 좋은 제품이 효과적입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따뜻함과 편안함을 동시에 제공하며, 입고 벗기 쉬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2. 이상적인 기능성 내의 조건: 소재, 여밈 방식, 신축성 고려

고령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내의에서 가장 권장되는 소재는 폴리프로필렌이나 모달, 텐셀 혼방 소재로, 땀을 흡수하고 빠르게 건조되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히 와상환자나 침대에서 오래 머무는 고령자에게는 이중직 원단이나 기모 원단보다 통기성과 신축성이 뛰어난 경량 내의가 유리합니다.

여밈 방식은 단추보다는 자석형, 벨크로형, 혹은 완전히 오픈되는 랩 형식이 가장 편리합니다. 고령자 중에는 손 마비나 손가락 변형이 있는 경우도 많아 세심한 여밈 방식의 배려가 필요합니다. 또한, 소매와 밑단의 밴드는 너무 조이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신체가 수축될 때에도 혈류를 방해하지 않는 탄력 밴드 처리가 이상적입니다.

 

3. 실내복은 이동과 케어를 고려해 선택: 착용 편의성과 활동성 확보

실내복은 대부분의 시간을 집이나 요양시설에서 보내는 고령 장애인에게 가장 오래 착용하는 옷이자, 가장 자주 세탁되는 옷입니다. 따라서 세탁 후에도 변형이 적고, 착용 시 움직임이 자유롭고, 화장실 사용이 편리한 디자인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상의는 앞 여밈형 재킷 스타일, 하의는 넓은 허리 밴드 또는 옆단추형 바지가 적합합니다.

특히 요양병원이나 돌봄 시설에서는 속옷과 실내복을 분리하지 않고 입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중 레이어 없이도 체온 유지와 흡습성이 좋은 단일형 실내복이 매우 유용합니다. 앉고 누웠을 때 옷이 뭉치거나 껄끄럽지 않도록 무봉제(flat seam) 처리, 그리고 등과 허리 부분의 여유로운 재단이 필요합니다.

 

4. 따뜻함과 자존감을 모두 지키는 실내 패션: 색상과 스타일의 중요성

기능성과 착용 편의성만을 고려하다 보면 실내복은 자칫 ‘병원복’ 같은 단조로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옷은 기분과 자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고령 장애인이라도 스스로를 단정하게 꾸미고 싶어 하는 마음은 여전히 존재하며, 그 마음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실내복에도 차분하고 따뜻한 색상, 잔잔한 패턴, 부드러운 실루엣을 적용한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라벤더, 민트, 라이트 브라운과 같은 안정감을 주는 색상은 시각적 편안함을 주며, 플로럴 프린트나 체크무늬는 익숙한 정서적 안정감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옷 하나로 일상의 온도와 품격을 높일 수 있다는 믿음은 고령자에게도, 그 가족에게도 큰 의미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