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ommy Hilfiger Adaptive: 메인스트림 브랜드의 포용 선언
적응형 패션을 논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브랜드는 단연 Tommy Hilfiger Adaptive입니다. 이 브랜드는 2016년, 미국을 중심으로 적응형 패션 라인을 공식 론칭하며 기존의 메인스트림 패션 브랜드 중 최초로 포용적 디자인을 상업화한 대표적 사례가 되었습니다. 휠체어 사용자, 근력 저하자, 신경계 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의류를 중심으로 기능성과 스타일을 동시에 제공하는 제품군을 선보였습니다.
Tommy Adaptive의 대표적 특징은 자석 단추, 벨크로 여밈, 앞면 전체 개폐형 셔츠, 뒷면 지퍼 바지, 앉은 자세에 맞춘 허리선 조절 등 실제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한 디테일 중심 설계입니다. 그 철학은 단순합니다. “장애인도 똑같이 멋있고 싶다. 그러므로 디자이너는 옷이 그들을 도와야 한다.”
이를 통해 Tommy Hilfiger는 장애를 가진 이들을 패션 소비자라는 평등한 위치에 두고, 시장에서 ‘선택받을 권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IZ Adaptive: 사용자 경험을 최우선으로 한 맞춤형 디자인
캐나다 기반의 IZ Adaptive는 휠체어 사용자와 지체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패션 브랜드로, 디자이너 Izzy Camilleri가 2009년 설립했습니다. 이 브랜드는 의료적 니즈보다는 사용자의 일상과 생활양식을 이해한 디자인 접근으로 유명하며, 실제 휠체어 사용자와 협업해 제품을 개발합니다. 철학은 “몸이 다르다고 덜 멋져야 할 이유는 없다.”
IZ Adaptive의 제품군은 휠체어 착용 시 옷이 올라가지 않도록 설계된 등길이 조절 셔츠, 뒷주머니 제거, 허리 곡선에 맞춘 재단, 감각 예민자를 위한 무자극 원단 등으로 구성됩니다. 또한 기능성뿐만 아니라 세련된 디자인을 강조하며, 실제로 패션쇼 무대나 광고 캠페인에도 장애인 모델이 주도적으로 등장합니다.
이 브랜드는 “장애인을 위한 옷은 별종이 아니라, 단지 ‘다른 방식으로 설계된 옷’”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3. MagnaReady: 기술 기반의 일상형 적응 패션
MagnaReady는 미국에서 시작된 적응형 패션 브랜드로, 기술 중심의 실용적 디자인을 통해 특히 고령자와 손 마비 환자를 위한 셔츠를 중심으로 성장했습니다. 이 브랜드의 시작은 창립자의 남편이 파킨슨병으로 인해 단추를 채우지 못하면서 탄생한 자석 셔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MagnaReady는 특허 받은 자석 클로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셔츠, 바지, 재킷 등을 통해, “누구나 쉽게 입을 수 있는 옷”을 현실화했습니다.
제품들은 클래식 셔츠의 외형을 유지하면서도, 안쪽에 강력한 자석 여밈이 적용되어 있어 손의 정교한 움직임 없이도 쉽게 입고 벗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브랜드는 Amazon, Macy’s, JCPenney 등 대형 유통망에 입점하면서 접근성과 가격 면에서도 큰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MagnaReady는 “기술은 장애를 위한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편리한 미래를 위한 것”이라는 철학을 실현해내고 있습니다.
4. 공통 철학: 디자인은 누구를 위한 것이어야 하는가
이 세 브랜드가 공통으로 강조하는 핵심은 “장애인을 위한 옷”이라는 이질적인 틀을 깨고, 누구나 선택할 수 있는 패션”으로 적응형 의류를 끌어올렸다는 점입니다. 단순한 기능적 보조를 넘어서, 이들은 장애를 개성으로 포용하고, 패션을 사회적 메시지로 확장하는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그 결과, 패션은 더 이상 신체의 ‘정상성’에 종속된 산업이 아니라, 다양한 몸의 형식과 움직임을 존중하는 문화적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 브랜드들의 철학은 우리 모두에게 묻습니다.
“당신의 디자인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나요?”
적응형 패션은 단지 옷이 아니라, 세상을 더 평등하게 만드는 하나의 언어입니다.
'장애인 적응형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적응형 패션 브랜드 현황과 한계 (0) | 2025.07.20 |
---|---|
장애인 모델의 등장과 패션쇼의 변화 (0) | 2025.07.20 |
적응형 패션 시장의 성장과 소비자의 변화 (0) | 2025.07.20 |
전문 브랜드 없어도 괜찮을까? 유니클로에서 찾은 적응형 패션 아이템 5가지 (0) | 2025.07.20 |
고령 장애인을 위한 기능성 내의 및 실내복 추천 (0) | 2025.07.20 |
시각장애인을 위한 의류 구성의 팁과 촉각 활용법 (0) | 2025.07.19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시각 중심 패션 소품 아이디어 (0) | 2025.07.19 |
자폐 스펙트럼 아이들을 위한 감각 민감성 고려 옷 (0)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