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을 위한 신발 디자인의 기본 원칙
1. 장애인의 보행 특성과 신발의 역할장애인, 특히 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균형 감각 이상, 절단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신발은 단순한 ‘패션 아이템’을 넘어 보행 안정성과 삶의 자립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도구다. 일반적인 신발은 두 발이 대칭적이고 일정한 걸음걸이를 전제로 설계되지만, 많은 장애인은 걸음 속도, 압력 분산, 발의 움직임 범위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신발은 단순히 예쁜 외형이나 최신 유행보다, 기능 중심의 구조 설계와 사용자 맞춤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특히 보조기 착용 여부, 발 모양 비대칭, 보행 보조기기 사용 여부에 따라 신발의 형태와 지지력이 달라져야 하며, 이는 디자인 단계부터 철저히 고려되어야 한다. 결국, 신발은 신체 일부로 작용하면서도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자세를..
장애인복 제작에 활용되는 특수 원단 소개
1. 기능성과 감성을 동시에: 적응형 패션에 필요한 원단의 조건장애인복, 특히 적응형 패션은 단순히 편한 옷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신체 조건과 감각 반응에 맞춘 섬세한 소재 설계가 핵심이다. 기존의 의류는 디자인이나 스타일에 초점을 맞추지만, 적응형 의류에서는 피부 자극, 통기성, 신축성, 세탁 편의성까지 폭넓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휠체어 사용자, 절단 장애인, 감각과민 아동 등 다양한 사용자가 각각 겪는 물리적·정신적 불편을 최소화하려면 기능 중심의 특수 원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동시에 사회 활동이 늘어난 장애인 당사자들은 ‘보기 좋은 옷’도 원하기 때문에, 기능성과 심미성의 조화가 매우 중요해졌다. 결국 장애인복에 쓰이는 특수 원단은 단순한 소재를 넘어, ‘의학+패션+감성’의 융합으로 이해..